본문 바로가기

문학의 주변/권영민의 문단시평

신춘문예의 계절

해마다 연말이 되면 중요 신문들이 큰 상금을 내걸고 문학작품을 공모한다. ‘신춘문예라는 이름으로 시행되고 있는 이 문단 행사는 문학을 꿈꾸는 이들에게는 밤하늘에 빛나는 별처럼 늘 아득하다. 수많은 문학 지망생들이 신춘문예를 기다리며 작품을 가다듬고 여기저기 신문에 투고한다. 그리고는 얼마나 가슴조리면서 신년 첫날의 발표를 기다리는지 이 열병을 치루지 않은 사람은 이해하지 못한다. 아마도 전 세계에서 문학의 길을 향한 통과의례를 이렇게 유별나게 치루는 나라는 달리 없을 듯하다.

우리나라에서 상금을 내걸고 문학 작품을 공모한 것은 최남선(崔南善)이 주재했던 잡지 청춘(靑春)이 처음이다. 이 잡지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 아래에서 1914년에 종합 월간 문예지로 출발했다. 그리고 바야흐로 발흥하려는 신문단에 의미 있는 파란을 기대한다는 목표 아래 현상문예란을 만들어 독자의 작품을 모집한 적이 있다. 그런데 1920년대 중반부터 민간 신문들이 신춘문예라는 이름으로 문예작품을 현상 공모하고 그 결과를 연초에 발표하면서 하나의 문단적 제도로 정착했다.

요즘도 중요 신문사들은 신춘문예 제도를 대부분 운영한다. 전에는 일부 잡지사에서도 신춘문예라는 이름으로 문학작품을 공모했지만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신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신춘문예를 보면 시, 소설, 희곡, 평론 등 각 분야별로 작품을 공모하여 이를 권위 있는 심사위원들에게 심사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매년 신년호에 각 부문별 당선작을 발표한다. 당선작에게는 상당한 상금이 돌아가지만 상금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당선작을 낸 사람을 곧바로 문필가로 대우한다는 점이다. 신문사가 신춘문예라는 제도를 공정하게 운영하면서 역량 있는 신인 발굴의 등용문을 만들어주고 있는 셈이다.

우리 문학계의 거장들 가운데에는 신춘문예를 통과한 사람들이 많다. 소설가 김동리는 1934년 시 백로(白鷺)가 신춘문예에 입선된 후 1935년 단편소설 화랑(花郎)의 후예(後裔)가 신춘문예에 당선되었고, 단편소설 산화(山火)1936년 다시 신춘문예에 당선된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소설가 김유정의 경우는 1935년 소설 소낙비노다지가 각각 다른 두 군데 신문사의 신춘문예를 석권함으로써 문단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시인 서정주도 1936년 시 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하였다. 최근에 세상을 떠난 작가 최인호도 신춘문예를 통해 문단에 나왔고, 그 후 화려한 명성을 이어갔다. 소설가 황석영, 이문열, 오정희 등도 모두 신춘문예를 통과한 후 유명한 작가로 성장했다.

그런데 신춘문예는 그 당선의 화려함에도 불구하고 자기 이름을 제대로 문단에 알리지 못하고 사라진 사람들도 적지 않다. 신춘문예 당선보다 그 영예를 지키면서 좋은 글을 계속 써나간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운이 좋게 당선된다고 하더라도 문학을 한다면서 어떻게 운수에만 매달릴 수 있겠는가? 한 시대를 살아가는 문학인으로서 자기 존재를 지키기 위해서는 그만큼 피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하는 것이다. 신춘문예 지망생들은 이 점을 꼭 마음속에 담아두어야 한다.

신춘문예의 열기가 문단 진출 방식이 다양해졌음에도 여전히 뜨겁다. 여기저기 문학창작교실을 두드리는 사람들도 많고, 인터넷에 신춘문예 준비생들의 모임까지 생겼단다. 모두가 살기 어렵다고 야단인데 문학을 향한 열정이 아직 한 구석에 남아 있음을 보게 되는 것이 기분 나쁘지만은 않다. 그러나 신춘문예 당선을 위한 묘책은 없다. 자기만의 개성적인 목소리를 살리는 일이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하다. 이번 신춘문예에서는 패기 있는 목소리의 새로운 얼굴들을 더 많이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다.(권영민, 2013.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