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근대문학연표

한국 근대문학 연표 1920년

1920년

 

<중요 문단 사항> 

 

1. 6 총독부, 한글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 발행 허가

3. 5 [조선일보] 창간

3.- 동경유학생 홍해성, 김우진, 조명희, 유춘섭, 최승일 등, 극예술협회 조직.

3.- 여성잡지 [신여성] 창간

4. 1 [동아일보] 창간(김성수, 박영효, 장덕수 등 발기)

4. 1 [시사신문] 창간(민원식 등 발기)

6.25 월간종합지 [개벽(開闢)] 창간(발행인 이두성, 편집인 이돈화, 창간호 발매금지)

7. 1 학생잡지 󰡔학생계󰡕 창간

7.25 오상순, 염상섭, 황석우, 변영로, 김억, 민태원 등 동인지 [폐허(廢墟)] 창간 (1921.1.20. 2호로 종간)

7.30 평양에서 조만식 등 70여명, 조선물산장려회 발기회 개최.

 

[작품 목록]

 

  <소설>

 

백악  자연의 자각  현대 20.

노월  춘희  매일신보 20.1.24~29

취몽생  동요(신춘문예일등)  매일신보 20.1.3

고범생  고독에 우는 소녀  매일신보 20.1.3

춘성생  ()의 과()?  서광 3 20.2

동원  몽영의 비애  창조 4 20.2

전영택  생명의 봄  창조 5~7 20.3~7

새별  생의 비애  창조 5 20.3

동원  피아노의 울림  창조 5 20.3

물망초  처녀의 가는 길  신여자 1 20.3

김일엽  계시  신여자 1 20.3

오천석  버림받는 자  서광 4 20.3

일파생  농촌  서광 4 20.3

노월  위선자  매일신보 20.3.2~8

염상섭  박래묘  삼광 3 20.4

백합화  애의 추회  신여자 2 20.4

김일엽  어느 소녀의 사  신여자 2 20.4.

민우보  부평초  동아일보 20.4.1~9.4

벽파생  눈오는 밤  창조 6 20.5

백악생  일년 후  창조 6 20.5

김동성  그를 미든 ᄭᅡ닭  동아일보 20.5.28~6.1

청운생  영적 연애의 승리자  서광 5 20.6

민태원  어느 소녀  폐허 1 20.7

김동성  농조(寵鳥)  동아일보 20.8.4~21

조일재  관음상  매일신보 20.7.7~21.3.23

이동원  사랑의 절규  서울 6 20.9

최노경  애인의 불평  매일신보 20.9.4~13

현진건  희생화  개벽 5 20.11

목성  그날밤  개벽 6~8 20.12~21.2

 

<소설집> 

 

미상  방화수유정 박문서관 20.12.31

미상  설중송 회동서관 20.3.30

이상협  해왕성 박문서관 20.7.30

 

<희곡> 

 

송당  살기 위하여  창조 5 20.3

김정진  사인의 심리  동아일보 20.6.7-15

 

<평론>

 

류지영 조선과 예술 서광 2 20.1

극웅 문예에 대한 잡감 창조 4 20.2

월탄생 과거와 현재의 조선의 불교 서광 4 20.3

금동인 글동산의 거둠-부 잡평 창조 5 20.3

고영환 최남선군의 <현대청년>을 독함 현대 2 20.3

제월 백악씨의 <자연의 자각>을 보고서 현대 2 20.3

염상섭 이중해방 삼광 3 20.4

황석우 시화 삼광 3 20.4

염상섭 자기가학에서 자기해방에-생활의 성찰 동아일보 20.4.6-9

석송 문학과 실생활의 관계를 논하야 신문학건설의 급무를 제창함 동아일보 20.4.20-24

석송 문예에서 무엇을 구하는가? 창조 6 20.5

석송 제월씨의 평자적 가치-<자연의 자각>에 대한 평을 보고 창조 6 20.5

제월 여의 평자적 가치를 논함에 답함 동아일보 20.5.3,6.1-2

윤백남 연극과 사회-병하야 조선 현대극장을 논함 동아일보 20.5.4-12

현철 소설개요 개벽 1-2 20.6-7

김동인 제월씨에게 대답함 동아일보 20.6.12-13

제월 김군에게 한 말 동아일보 20.6.14

동인 자기의 창조한 세계-톨스토이와 떠스토에브스키를 비교하야 창조 7 20.7

금동인 글동산의 거둠-잡평 창조 7 20.7

이병도 조선의 고대 예술과 오인의 문화적 사명 폐허 1 20.7

상아탑 일본시단의 2대 경향 폐허 1 20.7

김억생 스핑쓰의 고뇌 폐허 1 20.7

오상순 현대고와 그 희생 폐허 1 20.7

염상섭 폐허에 서서 폐허 1 20.7

김유방 시성 타고르에 대하여 학생계 1 20.7

김억 문학 니야기 학생계 1 20.7

변영로 주의적 생활 학지광 20 20.7

현철 소설연구법 개벽 3-4 20.8-10

노자영 한문학의 이야기 개벽 3 20.8

노자영 타고르의 자연학원 서광 7 20.9

묘향산인 중국문학의 가치를 논함 개벽 4 20.10

이돈화 조선신문화건설에 대한 도안 개벽 4 20.10

장도빈 예술천재론 서울 7 20.10

이돈화 조선인의 민족성을 논하노라 개벽 5 20.11

황석우 최근의 시단-앙명, 보성, 요한, 춘원, 춘성군의 시를 읽고 개벽 5 20.11

현철 희곡의 개요 개벽 5-8 20.11-21.2

양백화 호적씨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문학혁명 개벽 5-8 20.11-21.2

묘향산인 근대주의의 제일인 <루소>선생 개벽 5 20.11

현철 비평을 알고 비평을 하라 개벽 6 20.12

최승만 불평 개벽 6 20.12

황석우 희생화와 신시를 읽고 개벽 6 20.12

노자영 근대사상연구 서울 8 20.12

김억 톨스토이 서울 8 20.12

 

 

 

 

 

'한국근대문학연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근대문학연표 1918년  (0) 2018.11.17
1919년  (0) 2018.10.13
한국 근대문학 연표 - 1917년  (0) 2013.05.17
한국 근대문학 연표 - 1916년  (0) 2013.05.10
한국 근대문학 연표 - 1915년  (0) 2013.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