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월의 딸들
1
이번에 시인 김소월의 외증손녀인 김상은씨가 소월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새롭게 조명하는 책 <소월의 딸들>을 펴내게 된 것이 참으로 기쁘다. 이 새로운 작업이 소월 탄생 110년을 맞아 그 가족의 손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도 뜻깊다. 김상은 씨는 전문적인 문필가는 아니다. 음악을 전공한 성악가로서 소월의 시에 곡을 붙이고 이를 직접 노래하기도 하였다. 김상은 씨는 가족들에게 전해져 온 소월에 관한 일화들을 다시 정리하고 그 중요 작품들도 함께 모아 새로운 형식의 소월 평전을 내놓고 있다. 김소월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꼭 참조해야 할 책이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2
김소월(본명 김정식, 1902-1934)은 평안북도 구성에서 태어났으며 오산학교를 거쳐 배재고보를 졸업했다. 김소월은 1920년 3월 오산학교 재학 당시 스승이던 김억(金億)의 도움으로 《창조》5호에 발표한 작품 「낭인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등을 통해 시단에 처음 이름을 올렸으며 배재고보 재학 중부터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1923년 일본 동경으로 유학하여 동경상과대학에 입학했지만 그해 여름 일본 관동지방의 대지진으로 학업을 포기하고 귀국하였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온 후 1925년 시집 『진달래꽃』을 출판하였으며 작품활동을 계속하면서 초창기 시단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김소월은 근대시의 형성 과정에서 한국적 서정시를 확립한 시인으로 평가된다. 그는 서구시의 형식을 번안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던 한국 근대시에 새로운 독자적인 형식과 기법을 정착시켜 놓았다. 그가 발견한 새로운 시적 형식은 전통적인 민요의 율조와 토속적인 언어 감각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그의 시는 각각의 작품들이 모두 균제된 시적 형식을 이루고 있으며, 그 자체의 형식을 통해 서정시의 미학을 추구하고 있다.
김소월의 시는 흔히 정한(情恨)의 노래라는 이름으로 그 특질이 규정되기도 하지만, 거기에는 민족적 현실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 가로놓여 있다. 김소월이 그의 시에서 즐겨 노래하고 있는 대상은 ‘가신 님’이거나, ‘떠나온 고향’이다. 모두가 현실 속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다. 임과 고향을 그리워하는 그의 심정은 어떤 면에서 퇴영적인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그의 시는 다시 만나기 어렵고 찾기 힘든 그리움의 대상을 끈질기게 추구하면서 노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낭만적이기도 하다.
김소월은 서정시의 본령이라고 할 수 있는 개인적인 정감의 세계를 중요시하고 있다. 그는 자연을 노래하면서도 대상으로서의 자연을 그려내기보다는 개인적인 정감의 세계 속으로 자연을 끌어들여 그 정조에 바탕을 두고 그것을 노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시에서 즐겨 다루어지고 있는 자연은 서정적 자아의 내면 공간으로 바뀌고 있으며, 개별적인 정서의 실체로 기능하고 있다. 김소월의 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개인적인 정감의 세계는 삶의 희망과 환희보다는 고통과 슬픔이 중심을 이룬다. 이것은 시인의 개인적인 정서적 취향과도 관계되는 것이지만, 식민지 상황에서 한국 민족이 겪어야 했던 고통과 슬픔과도 무관하지 않다. 김소월은 한국 민족의 삶을 노래하고 있으며, 그 노래 자체가 고통스런 삶을 이겨나가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민족적 정서의 시적 구현 자체가 김소월 시의 존재를 드러내어 주는 것이라면, 김소월의 시에서 바로 그러한 정서적 특질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김소월의 시가 오늘의 독자들에게 여전히 중시되고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김소월은 평범하고도 일상적인 언어를 그대로 시 속에 끌어들이고 있다. 심지어는 관서지방의 방언까지도 그의 시 속에서 훌륭한 시어로 활용된다. 일상의 언어를 전통적인 율조의 형식으로 재구성하고 있는 김소월의 시는, 바로 이러한 언어의 특성에 기초하여 민족의 정서를 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경험의 현실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일상의 언어는 정감의 깊이를 들어내어 보여줄 수 있으며 짙은 호소력도 지닌다. 김소월의 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적 언어의 토착성이라는 것은 그 언어를 바탕으로 생활하고 있는 민중의 정서가 언어와 밀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김소월의 시에는 추상적인 개념어가 거의 없으며, 구체적인 정황이나 동태를 드러내는 토착어가 자연스럽게 활용되고 있다. 그의 시가 실감의 정서를 깊이있게 표현하고 있는 것은 이 같은 언어적 특성과 깊은 관계가 있다. 특히 그의 시의 율조는 민중의 호흡과 같이하면서 유장한 가락에 빠져들지 않고 오히려 간결하면서도 가벼운 음악성을 잘 살려내고 있는 것이다.
3
김소월의 삶과 문학에 대해서는 몇 가지 논란이 이어졌다. 먼저 그의 문단활동과 동인지《창조》의 참여 문제를 보기로 하자. 김소월은 《창조》의 동인이 아니다. 《창조》에 시를 발표하기는 하였지만 기고에 불과했다. 동경상과대학에 입학한 후 대지진 직후 귀국한 김소월은 다시 동경으로 건너가지 않았다. 그는 서울에 머물지 않고 고향인 평안북도 구성으로 내려가서는 집안의 사업을 도왔다. 1924년 《영대》의 동인으로 참여하였으나 편집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 김소월의 죽음을 둘러싼 자살 의혹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김소월의 부음이 서울에 전해진 것은 그가 세상을 떠난 사흘 뒤였다. 당시 조선일보는 (34. 12. 27) ‘청년시인 소월 김정식씨가 그동안 침묵으로 일관하다가 24일 아침 뇌일혈로 급작스럽게 별세’하였다고 보도하였고, 동아일보(1934. 12. 27)는 ‘시인 김소월이 평안북도 구성군 서산(西山)면 평지(坪地)동 자택에서 24일 오전 8시에 돌연 별세하였는데 그가 최근까지 무슨 저술에 착수 중’이었다고 전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김소월의 죽음은 그 뒤 자살로 알려지면서 더욱 큰 충격을 던졌다. 다량의 아편을 먹고 자살하였다는 주장은 수많은 논저에서도 반복되어온 이야기다. 그런데 김상은 씨의 증언에 의하면 김소월은 심한 관절염에 시달리고 있었다는 것이다. 고통이 더해지면 하는 수 없이 아편을 조금씩 복용하여 그 통증을 잊고자 하였다. 소월의 죽음은 바로 이 관절염의 고통을 잊고자 과량으로 복용한 아편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은 근거없이 유포되어 있는 소월의 자살설을 뒤집을 수 있는 새로운 사실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앞으로 김상의 씨의 새 책 출간을 계기로 잘못된 전기적 사실들이 모두 바로잡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권영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