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문학콘서트
권영민 교수 “잃어버린 ‘오감도’ 연작 17편 찾았다” <한겨레>(2014.3.30)
문학콘서트
2014. 4. 1. 10:53
“왜 미쳤다고들 그러는지. 대체 우리는 남보다 수십년씩 떨어지고도 마음 놓고 지낼 작정이냐. 모르는 것은 내 재주도 모자랐겠지만 게을러 빠지게 놀고만 지내던 일도 좀 뉘우쳐 봐야 아니 하느냐. 여남은 개쯤 써 보고서 시 만들 줄 안다고 잔뜩 믿고 굴러다니는 패들과는 물건이 다르다. 이천점에서 삼십점을 고르는 데 땀을 흘렸다. 31년 32년 일에서 용대가리를 딱 꺼내어놓고 하도들 야단에 배암꼬랑지커녕 쥐꼬랑지도 못 달고 그냥 두니 서운하다.”
이상이 <조선중앙일보> 1934년 7월24일부터 8월8일까지 연작시 <오감도>를 연재하다가 독자의 항의로 15회 만에 중단한 뒤 쓴 ‘오감도 작자의 말’이다. 신문사 안팎에서 ‘정신이상자의 잠꼬대’라는 말까지 들었던 <오감도>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또 한가지는 <오감도> 연작이 적어도 30편까지 이어진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 이상 전집 등에 수록되어 있는 것은 신문에 연재된 15편이 전부다. 그렇다면 16편 이후의 연작은 어떻게 되었을까.
망실된 <오감도> 제16호를 찾았다는 주장을 담은 김연수의 연작소설 <꾿빠이, 이상>(2001)은 이 질문에 대한 소설적 응답인 셈이었다. 김연수의 소설에서 학자들을 농락한 ‘오감도 시 제16호’는 이상의 삶을 흉내내려던 한 인물에 의해 날조된 것으로 드러났지만, 여기 <오감도> 16호~32호까지를 정말로 찾았다는 학자가 나타났다. 네권짜리 이상전집을 엮어냈으며 이상 연구서 <이상 텍스트 연구>와 <이상 문학의 비밀 13>을 내기도 한 국문학자 권영민 단국대 석좌교수가 그다.
권 교수가 찾아낸 <오감도> 연작 추가분은 완전히 새로운 작품은 아니고 기왕의 이상 전집에 다른 이름으로 실려 있던 작품들. 연작 <역단>(易斷) 다섯편과 <위독>(危篤) 열두편이 그것이다. <역단> 연작은 <가톨릭청년> 1936년 2월호에 실렸고 <위독> 연작은 <조선일보> 1936년 10월4일과 6일, 8일, 9일 치에 하루 세편씩 발표되었다. 지난 26일 서울 종로구 통인동 ‘이상의집’에서 만난 권 교수는 “이 두 연작이 형식과 주제에서 두루 <오감도>에 이어진다”면서 “<조선중앙일보>에 발표하지 못한 <오감도> 연작을 제목을 바꾸어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최재봉 기자 bong@hani.co.kr
(한겨레, 2014.3.30,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30457.html)